먼저 HTML 메타태그 예제를 보자.
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| <!DOCTYPE html> < html lang = "ko" > < head > < meta charset = "UTF-8" > < meta name = "description" content = "설명" > < meta name = "keywords" content = "키워드" > < meta name = "subject" content = "주제" > < meta name = "viewport" content = 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 > < title >시바견 개발자</ title > </ head > < body > </ body > </ html > |
이렇게 구성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.
<meta charset="UTF-8">
HTML 문서의 인코딩 방식을 지정한다. UTF-8와 euc-kr의 차이점이 알고 싶으면 UTF-8와 euc-kr의 차이점 알아보자 에 들어가보자.
<meta name="description" content="설명">
웹페이지에 대한 설명을 하는 메타태그다. 구글 검색엔진에게 메타태그 통해서 노출 시켜주기도한다.
<meta name="keywords" content="키워드,키워드2">
해당 키워드를 노출시켜주는 메타태그다.
<meta name="subject" content="주제">
홈페이지의 주제를 알려주는 것이다.
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>
이것은 다양한 기기들의 웹페이지의 크기를 결정하는 태그다.
width=device-width는 pc,모바일, 태블릿 등의 너비라는 의미한다.
initiall-scale=1.0은 웹페이지에 표시할 배율의미한다.
'시바 | HTM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Query] 제이쿼리 Sortable 사용법 (0) | 2018.03.12 |
---|---|
[css] 애니메이션(animation) (0) | 2018.03.07 |